코로나19 생활지원비 집에서 간편하게 신청하기
2023년 1월 1일 이후 격리자부터 코로나19로 입원·격리 통지서를 받은 사람은 생활지원비 또는 유급휴가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 생활지원비와 유급휴가비용이 중복지급되지는 않습니다.
<온라인 신청 전 확인사항>
▶격리해제일을 확인하세요.
- 코로나19 생활지원비는 격리 해제일 다음날부터 90일 이내에 온라인/오프라인으로 신청이 가능합니다.
▶온라인 신청은 정부24 회원가입 후 로그인 후에 신청가능합니다.
- 정부24 비회원은 신청이 불가하오니 정부 24 회원가입 후에 신청해야 합니다.
- 회원가입시에 <보조금 24 정보이용동의>를 하시면 서비스이용이 빠르게 됩니다.
▶지원자격을 확인하세요.
- 2022년7월 11일 이후 격리자는 건강보험료기준 중위소득100%이하 가구에게만 지급됩니다.
- 소득기준에 부합하는 경우라도 지원제외의 경우가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생활지원 | 지급일수 | 5일 |
지원대상 | 기준중위소득 100% 이하 가구 격리자 - 소득은 ‘23년 건보료 산정기준표로 판정 격리해제 前月 부과보험료 기준 적용 |
|
지원액 (3인가구, 2인격리) |
가구내 격리자 1인 10만원, 2인 이상 15만원 |
|
지원제외대상 |
|
|
신청기간 | 격리종료일 익일로부터 90일 이내 | |
신청기관 | (온라인) 정부24 (오프라인) 주소지 관할 읍․면․동 주민센터 |
|
유급 휴가비 |
지원대상 | 30인 미만 사업장 근로자수는 신청시 국민연금 사업장가입자수 적용 (국민연금 미가입 사업장은 4대 사회보험 사업장 가입자 명부 기준) |
일(日) 지원상한액 | 격리 통지된 기간 중 유급휴가 부여 일수에 해당하는 근로자 금액(1일 45,000원, 5일분까지만 지원) | |
지원 제외 대상 |
|
|
신청기간 | 격리종료일 익일로부터 90일 이내 | |
신청기관 | (오프라인) 사업장 관할 국민연금공단지사 |
▣ 코로나19 입원및 격리자 생활지원 안내
● 지원대상
- 코로나19로 입원‧격리 통지서를 받은 사람
- 가구의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100%이하 금액에 해당하는 입원・격리자(단, 가구의 기준 중위소득 적합 여부는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을 기준으로 판단함)
● 지원기준
* 실제로 동거하고 있지만 격리자가 주민등록표상 분리 등재된 경우는 별도 가구로 보아 따로 신청(동일 주민등록표에 등재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가구 가구원의 건강보험 피부양자로 등재되어 있더라도 가구원으로 보지 않음)
* 주민등록표에 함께 등재된 경우라도 동거인은 별도 1인 가구로 간주(하나의 주민등록표에 동거인이 2인 이상 기재된 경우라도 각각을 1인 가구로 봄)
※ (예) 아동보호시설, 장애인거주시설, 요양원, 기숙사 등 집단시설 거주자 등
(예1) 실제 4인 거주 가구로 4인 모두 확진자 또는 격리자인 경우 • 주민등록표상 동거 3명(부, 모, 자녀1), 다른 주민등록표에 등재(자녀2) → 주민등록 세대별로 각각 신청(2건, 부 등 3명 세대 1건, 자녀2 세대 1건) • 주민등록표상 동거 4명(부, 모, 자녀, 동거인) → 동거인을 별도 가구로 보아 각각 신청(2건, 부 등 3명 1건, 동거인 1건) (예2) 외부인(친지 포함)이 돌봄을 위해 다른 가구로 와서 공동격리된 경우 • 노인・장애인・아동 등 격리 시 돌봄을 위해 가구원이 아닌 사람이 격리 통지를 받아 함께 격리된 경우 등 → 해당 돌봄 수행 격리자는 돌봄을 제공받은 가구와 별개로 신청 ▶돌봄 등 인력이 적정 입원・격리 통지서(시스템상 기록을 포함함)를 받은 경우라면 돌봄의 사유, 목적, 자격 등은 별도로 확인할 필요 없음(즉, 격리통지 사실만 확인하여 일반 격리자와 동일하게 처리) |
● 소득기준 확인
- 격리 여부와 관계없이 산정된 가구원 전체의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(노인장기요양보험료 제외) 합산액이 기준 중위소득 100%100% 이하 금액에 해당하는지 확인
- 온라인 신청 대상자인 경우, 소득기준 적합 여부는 보조금 2424 및 연계시스템을 통해 확인 가능(’ 22.7.18.(’22.7.18. 이후)
- 오프라인 신청*대상의 경우, 행정정보공동이용시스템을 통해 가구원 및 건강보험료 정보 확인 가능
※ 오프라인 신청 대상자:①감염취약시설 3종 밀접접촉격리자(격리해제 시점 불문) ②공동격리자(공동격리자가 포함된 확진자 가구 포함) ③주민등록번호가 없는 외국인 ④주민등록상 동거인 등
※ 예: 격리 해제일이 7월 20일인 경우 6월분 부과보험료 확인
- (건강보험료 산출) 전체 가구원 중 ‘보험가입자’의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합산
- 보험가입자가 아닌 피부양자로 등재된 경우는 0원으로 처리
- 휴직 등의 사유로 전월 부과보험료가 없는 경우는 0원으로 처리
- 휴직 후 복직 등으로 정산보험료가 추가 부과된 경우 정산보험료는 제외
< 2023년 건강보험료 산정기준표(기준 중위소득 100%) >
가구 원수 |
소득기준 |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(노인장기요양보험료 제외) | ||
직장가입자 | 지역가입자 | 혼 합 | ||
1인* | 2,494,000 | 88,753 | 26,673 | - |
2인 | 3,457,000 | 123,511 | 68,365 | 124,093 |
3인 | 4,435,000 | 157,684 | 121,134 | 159,423 |
4인 | 5,401,000 | 191,845 | 151,504 | 194,564 |
5인 | 6,331,000 | 226,361 | 191,639 | 230,142 |
6인 | 7,228,000 | 261,015 | 235,637 | 266,386 |
7인 | 8,108,000 | 291,898 | 273,699 | 299,947 |
8인 | 8,988,000 | 320,126 | 305,817 | 332,208 |
9인 | 9,867,000 | 359,887 | 354,030 | 379,133 |
10인 | 10,747,000 | 403,785 | 402,840 | 434,962 |
* ’22년과 동일하게 1인가구 120% 소득기준액을 적용(다만, 해당 건강보험료는 1인가구 130% 소득
기준액 대비 건강보험료 산정비율(직장 3.6%, 지역 1.07%) 만큼 120% 소득기준액에 적용하여 산출함)
** 가구원수가 10인을 초과하는 경우는 10인 가구 기준을 적용함
(예시) 세대원 5명(부, 모, 자녀, 조모, 동거인(직장동료)) 중 격리자 3명(모, 자녀, 동거인)
• 세대원 중 보험가입자 3명(부(지역), 모(직장), 동거인(직장))
피부양자 2명(자녀(모의 피부양자), 조모(별도 세대 다른 자녀의 피부양자))
⊙(동거인 제외 세대원) 부(지역)와 모(직장)의 월보험료 합계액이 194,564원(4인 혼합) 이하이면 15만 원 지원
⊙(동거인) 동거인(직장)의 월보험료가 88,753원(1인 직장) 이하이면 10만원 지원(별도신청)
▶신청자는 원칙적으로 가구 내 확진자로 함(확진자가 없는 가구는 격리자가 신청)
* 확진자가 미성년자인 경우 → 가구 내 다른 성인 격리자 명의로 신청
* 성인 격리자가 없는 경우 → 보호자, 법정대리인이 신청(위탁부모 등 포함)
▶개별 격리자의 격리일수는 지원기간에 반영하지 않음 ☞ 격리일수와 무관하게 정액 지원
☞ 격리자가 3인 이상인 경우도 최대 15만원을 지원함에 유의
▶ 동일가구 1건의 격리통지 기간 중 중도에 추가 확진자가 발생(즉, 가구 내 격리자 또는 수동감시자가 양성판정으로 확진자 전환)하여 해당 가구의 격리기간이 연장된 경우, 1건으로 신청・지급
▶ 동일가구 1건의 격리통지 기간이 종료된 후 새로운 격리통지를 받게 된 경우, 이 신규 격리통지에 대한 생활지원비는 해당 격리통지의 격리자 수에 따라 별도 신청・지급
● 신청방법 및 절차
▶ 코로나19 지원금(생활지원금) 신청방법(PC)

① 코로나19 생활지원비 신청 배너를 클릭 후 로그인 합니다.
② 국가보조금맞춤형 서비스(보조금 24)이용동의 후 신청페이지로 이동합니다.

① 나의 격리해제일이 안내된 기간에 포함되는지 확인 후
② ‘온라인신청 가능여부 조회하기’ 버튼을 누르고 결과를 확인합니다.
③ 신청 가능 버튼을 누르시면, 현재 지원 가능 대상자 여부인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본인이 지원 대상인지를 확인하신 후 STEP 03으로 이동해서 신청서를 작성하세요.

① 신청인 정보 작성 완료 후 다음버튼을 클릭해 다음페이지로 이동합니다.
② 대상자 정보 작성 완료 후 다음버튼을 클릭해 다음페이지로 이동합니다.
③ 구비서류 제출 및 이용동의 후 신청버튼을 클릭해 신청완료합니다.

① MyGOV>서비스 신청내역> 온라인 신청민원 메뉴에서 신청 내역을 확인합니다.

① 코로나19 생활지원비 신청 배너를 클릭 후 로그인 합니다.
② 국가보조금맞춤형서비스(보조금24) 이용동의 후 신청페이지로 이동합니다.

① 나의 격리해제일이 안내된 기간에 포함되는지 확인 후
② ‘온라인신청 가능여부 조회하기’ 버튼을 누르고 결과를 확인합니다.
③ 신청 가능 버튼을 누르시면, 현재 지원 가능 대상자 여부인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① 신청인 정보 작성 완료 후 다음버튼을 클릭해 다음페이지로 이동합니다.
② 대상자 정보 작성 완료 후 다음버튼을 클릭해 다음페이지로 이동합니다.
③ 구비서류 제출 및 이용동의 후 신청버튼을 클릭해 신청완료합니다.

① MyGOV>서비스 신청내역> 온라인 신청민원 메뉴에서 신청 내역을 확인합니다.
신청 | ➭ | 신청서 접수 | ➭ | 검토 및 지원비 산정 | ➭ | 지원여부 결정 및 통보 |
➭ | 지급 |
입원・격리자 또는 대리인 |
읍・면・동 | 시・군・구 | 시・군・구 | 시・군・구 |
<참고> 시스템을 통한 처리절차(7.11. 개편 기준)
① 정보연계 (질병청・행안부・건보) |
② 지원대상 선별 (정부24) |
③ 국민안내 | |||||
∙ 코로나19 확진자 ∙ 주민등록세대원 ∙ 건보자격, 보험료 ※ 격리 해제일 기준 세대원 및 건보료 정보 배치 연계 |
▷ | ∙ 확진자 세대원 건보료를 합산, 기준중위소득 100%이하 해당 여부 계산 |
▷ | ∙ 격리자에게 안내 ※ 국민비서·SMS 등 (필요시, 격리통지 시 일괄 안내) |
|||
④ 신청 (대상자) |
⑤ 접수 (읍・면・동) |
⑥ 심사·지급 (시・군・구) |
|||||
▷ | ∙ (온)정부24 ∙ (오프)읍・면・동 ※ 정보이용 동의 등 |
▷ | ∙ 신청내용 검토 ∙ 지원배제 확인 등 ※ 구비서류 보완(필요시) |
▷ | ∙ 심사 및 지급결정 ※ 대상자엑셀정보 확인 후 ∙ e호조 집행 ∙ 처리완료 입력 |
▣ 유급휴가비용 (2023.1.1. 이후 격리자)
▶ 신청자격: 코로나19로 입원‧격리 통지를 받은 근로자에게 유급휴가를 제공한 근로자가 30명 미만인 사업장*의 사업주
- (근로자 수 산정기준) 신청일이 속한 달의 ‘전월 말일’ 기준 국민연금 가입자 수
- 국민연금 가입대상 사업장이 아닌 경우, 4대 사회보험 사업장 가입자 명부 등으로 근로자 수 확인
▶지원금액: 격리 통지된 기간 중 유급휴가 부여 일수에 해당하는 근로자 금액(1일 45,000원, 5일 분까지만 지원)
▶신청기관: 국민연금공단 각 지사
▶ 신청기간: 근로자의 격리기간이 종료된 날의 익일로부터 90일 이내
▶ 신청서류:
- 유급휴가 지원 신청서
- 유급휴가 부여 및 사용 확인서
- 유급휴가 지원금 부정수급 방지 자율점검표(’23.3.10. 이후 격리자에게 적용)
- 근로자가 입원 또는 격리된 사실과 기간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
- 사업장 통장사본
- 4대 사회보험 사업장 가입자 명부*(국민연금가입 대상 사업장이 아닌 경우에 한함)
♣4대 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 접속 ▷ 회원가입 후 로그인▷증명서 발급 ▷증명서(가입내역확인)신청/발급▷ 신청 후 출력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관세청 세관 사칭 문자 - 개인통관고유부호 유출 후 조회,변경 (0) | 2023.06.07 |
---|---|
온라인 전입신고로 쉽고 간편하게 전입신고하세요. (0) | 2023.06.01 |
부동산 상식- 전세, 임대 거래시 필수로 알아야 하는 특약사항 (0) | 2023.02.14 |
평생교육 받으시려면 평생교육바우처 신청하세요. (0) | 2023.01.27 |
아고다 고객센터 연락처로 코로나19관련 예약취소하는 방법 (0) | 2023.01.08 |
댓글